접지공사의 종류
1) 기기 절연물이 열화 또는 손상되었을 때 흐르는 누설전류로 인한 감전 방지용
2) 고저압 혼촉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인축에 위험을 주는 고압 전류를 대지로 흘리어 감전을 방지하는 작용
3) 뇌해 방지용
4) 송전선, 배전선, 고저압 모선 등에서 지락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계전기를 신속하고 확실하게 동작하도록 하는 작용
5) 기기 및 배전선에서 이상 고전압이 발생하였을 때 대대지 전위를 억제하고 절연강도를 경감시키는 작용
2.접지공사의 종류
1) 접지공사의 종류에 따라 제1종, 제2종, 제3종, 특별3종 접지 공사의 4종류가 있으며, 접지저항 최대값과 접지선의 굵기의 최소값은 다음과 같다.
접지공사의 종류 |
접 지 저 항 값 |
접지선의 굵기(연선의 경우) |
제1종 접지공사 |
10Ω |
지름 2.6mm(8㎟) |
제 2 종 접지공사
|
변압기의 고압측 또는 특별고압측 전로의 1 선 지락전류의 A 수로 150 (변압기의 고압측의 전로 또는 사용전압이 35000 V 이하인 특별고압측 전로가 저압측 전로와 혼촉에 의하여 대지전압이 150 V를 넘는 경우로서 1초를 넘고 2 초 이내에 자동적으로 고압 전로 또는 사용전압 35000V 이하의 특별고압 전로를 차단하는 장치를 설치할 때는 600)을 나눈 값과 같은 Ω 수 |
지름 4mm (고압 전로 또는 전?설 제150조 제1항 및 제4항에 규정하는 특별고압 가공 전선로의 전로와 저압 전로를 변압기에 의하여 결합하는경우에는지름2.6mm(8㎟)
|
제 3 종 접지공사 |
100 Ω |
지름 1.6 mm
|
특별 제 3 종 접지공사 |
10 Ω |
2) 1선 지락 전류의 계산식 : 제2종 접지공사의 저항을 계산할 때 필요한 선지락 전류는 다음과 같다.
1.중성점 비접지식 고압전로 (제2호에 규정하는 것을 제외한다)
가. 전선에 케이블 이외의 것을 사용하는 전로
우변의 제2항의 값은 소수점 이하는 절상한다. I1이 2미만으로 되는 경우에는 2로 한다.
나. 전선에 케이블을 사용하는 전로
우변의 제2항의 값은 소수점 이하는 절상한다.
I1이 2미만으로 되는 경우에는 2로 한다.
다. 전선에 케이블 이외의 것을 사용하는 전로와 전선에 케이블을 사용하는 전로로 되어 있는 전로
우변의 제2항 및 제3항의 값은 각각의 값이 마이너스로 되는 경우에는 영으로 한다.
I1의 값은 소수점 이하는 절상한다. I1이 2미만으로 되는 경우에는 2로 한다.
I1은 일선지락 전류(A를 단위로 한다)
V는 전로의 공칭전압을 1.1로 나눈 전압(㎸를 단위로 한다)
L은 동일모선에 접속되는 고압전로(전선에 케이블을 사용하는 것에 한한다)의 선로연장(㎞를 단위로 한다)
L'는 동일모선에 접속되는 고압전로(전선에 케이블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한다)의 전선연장(㎞를 단위로 한다)
2. 중성점 접지식 고압전로(다중접지선 중성선을 가지는 것은 제외한다) 및 대지로부터 절연하지 아니하고 사용하는 전기보일러?전기로 등을 직접 접속하는 중성점 비접지식 고압전로
(소수점 이하는 절상한다)
I2는 일선지락 전류(A를 단위로 한다)
I1은 제1호에 의하여 계산한 일선지락 전류
V는 전로의 공칭전압(㎸를 단위로 한다)
R는 중성점에 사용하는 저항기의 전기저항치(중성점의 접지공사의 접지저항치를 포함하는 것으로 하며 Ω을 단위로 한다)
3.중성점 리액터 접지식 고압전
(소수점 이하는 절상한다. I3이 2미만으로 되는 경우에는 2로 한다.)
I3은 일선지락 전류(A를 단위로 한다)
I1은 제1호에 의하여 계산한 전류치
V는 전로의 공칭전압(㎸를 단위로 한다.)
R는 중성점에 사용하는 리액터의 전기저항치(중성점의 접지공사의 접지저항치를 포함하는 것으로 하며 Ω을 단위로 한다)
X는 중성점에 사용하는 리액터의 유도 리액턴스의
3) 저압전로에서 그 전로에 지기가 생겼을 경우에 0.5초이내에 자동적으로 전로를 차단하는 장치를 시설하는 경우에는 이 표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제3종 및 특별3종접지공사의 접지 저항치는 자동차단기의 정격감도전류에 따라 다음표에서 정한 값 이하로 하여야 한다.
정격감도전류 |
접 지 저 항 치 |
30 mA |
500 Ω |
50 mA |
300 Ω |
100 mA |
150 Ω |
200 mA |
75 Ω |
300 mA |
50 Ω |
500 mA |
30 Ω |
4)시설장소에 따른 접지 공사의 종류 일람표
접지공사의 종류 |
내 용 |
제1종 접지 공사 |
1) 변압기로 특별고압전선로에 결합되는 고압전로의 방전장치 2) 특별고압 계기용 변압기의 2차측전로 3) 고압용 기계기구의 철대 및 금속제외함 4) 고압전로에 시설하는 피뢰기 및 방출보호통 기타 피뢰기에 대용하는 장치 5) 고압옥측전선로의 시설로 관 기타의 케이블을 넣는 방호장치의 금속제 부분, 금속제전선접속함 및 케이블의 피복에 대용하는 금속체* 6) 특별고압가공전선이 가공약전류전선 등과 근접 또는 교차시의 보호망 7) 고압옥외배선에 사용하는 관 기타의 케이블을 넣는 방호장치의 금속제 부분, 금속제전선접속함 및 케이블의 피복에 대용하는 금속체* |
접지공사의 종류 |
내 용 |
제1종 접지 공사 |
8) 방전등용 안정기의 외함 및 방전등용 전등기구의 금속제부분(관등회로의 사용전압이 고압이고 또한 방전등용 변압기의 2차단락전류 또는 관등회로의 동작전류가 1A가 넘는 경우) 9) 옥측 또는 옥외에 시설하는 관등회로의 사용전압이 1000V를 넘는 방전등 10) 전극식온천용승온기 차단장치의 전극 11) 풀장용 수중조명등 등에 사용하는 절연변압기의 1차 권선과 2차권선과의 사이에 시설하는 금속제의 혼촉방지판 12) 고압의 표피전류가열장치에 사용하는 발열관(박스를 포함한다) |
제2종 접지 공사
|
1) 고압전로과 저압전로를 결합하는 변압기의 저압측의 중성점 또는 1단자(사용전압이 300V이하의 경우이고 당해 접지공사를 변압기의 중성점에 시설하기 어려울 때) 2) 고압전로와 저압전로를 결합하는 변압기로 고압권선과 저압권선과의 사이에 시설하는 금속제의 혼촉방지판 3) 다심형전선을 사용하는 경우의 중성점 또는 접지측전선용으로서, 절연물로 피복하지 아니한 도체 |
제3종 접지 공사 |
1) 고압계기용 변압기의 2차측전로 2) 400V 미만의 저압용 기계기구의 철대 또는 금속제외함 3) 저압가공전선 또는 고압가공전선에 케이블을 사용하고, 이것을 조가하는 경우의 멧샌져와이어 및 케이블의 케이블의 피복에 사용하는 금속관 4) 다심형전선을 사용하는 경우의 멧센져와이어용으로서 절연물로 피복하지 아니한 도체 5) 고압가공전선이 교류전차선 등의 위에서 교차하여 시설될 경우의 고압 가공전선로의 완철류 6) 보호망 7) 보호관 8) 관, 암거 기타 지중전선을 넣는 보호장치의 금속제부분, 금속제의 전선접속함 및 지중전선의 피복에 사용하는 금속체 9) 터널내에 고압전선로를 시설하는 경우, 케이블을 사용할 때 방호장치의 금속제부분, 금속제전선접속함 및 케이블의 피복에 사용하는 금속체 10) 고주파전류 의한 장해방지를 위하여 시설하는 콘덴서 및 네온점멸기의 고주파발생방지장치 접속단자의 접지측단자 11) 400V 미만의 합성수지관공사에 사용하는 풀박스 또는 분진방폭형 플렉시블 휘팅 12) 400V 미만의 금속관배선에 사용하는 관 13) 금속몰드배선에 사용하는 몰드 14) 400V 미만의 금속제가요전선관배선에 사용하는 금속제가요전선관 15) 400V 미만의 금속덕트배선에 사용하는 덕트 |
접지공사의 종류 |
내 용 |
제3종 접지 공사 |
16) 400V 미만의 버스덕트배선에 사용하는 덕트 17) 플로어덕트배선에 사용하는 덕트 18) 400V 미만의 케이블배선에 사용하는 관 기타의 전선을 넣는 방호장치의 금속제부분, 금속제전선접속함 및 전선의 피복에 사용하는 금속체 19) 방전등용안정기의 외함 및 방전등용 전등기구의 금속제부분(제1종접기공사, 특별제3종접지공사의 조건이외의 경우) 20) 400V 이상, 1000V 이하의 전등회로의 배선으로 다음에 해당하는 것 가. 합성수지관배선에 의한 경우의 풀박스 또는 분진방폭형 플레시블 휘팅 나. 금속관배선에 의한 경우의 금속관 및 금속제의 전선접속함. 다. 금속몰드배선에 의한 경우의 금속몰드 및 금속제의 전선접속함 라. 금속제가용전선관배선에 의한 경우의 금속제 가요전선관 및 금속제의 전선접속함. 마. 케이블배선에 의한 경우의 관 기타 케이블을 넣는 방호장치의 금속제부분, 금속제 전선접속함, 랙크 등 지지물의 금속체부분, 케이블을 조가할 경우의 멧션져와이어 및 케이블의 피복에 사용하는 금속체 21) 에스컬레이터내의 관등회로 배선으로 전선과 접촉하는 금속제의 조영재 22) 네온변압기를 넣는 외함의 금속제부분 22) 네온변압기를 넣는 외함의 금속제부분 23) 옥측 또는 옥외에 시설하는 관등회로로서 사용전압 1000v이하의 방전등 24) 교통신호등 제어장치의 금속제외함. 25) 발열선 또는 발열선과 직접 접속하는 전선의 피복에 사용하는 금속체 및 방호장치 26) 전열보드의 금속제외함 또는 전열시트의 금속제피복 27) 전극식온천용승온기에 사용하는 절연변압기의 철심 및 금속제 외함. 28) 전기욕기에 사용하는 절연변압기의 철심 및 금속제외함 29) 전기방충용전원장치를 넣는 금속제의 외함 30) 아크용접장치의 피용접재 또는 이것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기구, 정반 등의 금속체 31) 엑스선발생장치의 변압기 및 콘덴서의 금속제외함 32) 엑스선관도선의 노출하는 퉁전부분에 1m이내로 접근하는 금속체 33) 라이팅덕트 배선에 사용하는 덕트 34) 표피전류가열장치에 사용하는 발열관(박스를 포함한다.) |
접지공사의 종류 |
내 용 |
특 별 제3종 접지 공사 |
1) 400V 이상의 저압용기계기구의 철대 및 금속제외함 2) 400V 이상의 합성수지관배선에 사용하는 풀박스 또는 분진방폭형 플렉시블 휘팅* 3) 400V 이상의 금속관배선에 사용하는 관* 4) 400V 이상의 금속제가요전선관배선에 사용하는 금속제가요전선관* 5) 400V 이상의 금속덕트배선에 사용하는 덕트* 6) 400V 이상의 버스덕트배선에 사용하는 덕트* 7) 400V 이상의 케이블배선에 사용하는 관 기타전선을 넣는 방호장치의 금속제부분, 금속제전선접속함, 랙크등 지지물의 금속제부분, 케이블을 조가할 경우의 조가용선 및 케이블의 피복에 사용하는 금속체* 8) 방전등용안정기의 외함 및 방전등용전등기구의 금속제부분 (관등회로의 사용전압이 400V 이상의 저압이고 또한 방전등용변압기의 2차단락전류 또는 관등회로의 동작전류가 1A를 넘는경우) 9) 옥측 또는 옥외에 시설하는 관등회로의 사용전압이 1,000V 이하의 방전등 10) 풀용 수중조명등에 사용하는 자동차단장치 등을 넣는 금속제의 외함 11) 풀장용 수중조명등을 넣는 용기 및 방호장치의 금속제부분 12) 400V 이상의 저압의 발열선 또는 발열선과 직접접속하는 전선피복에 사용하는 금속체 및 방호방치* 13) 400V 이상의 저압의 직접가열장치에 사용하는 발열체의 단열재의 금속제외피 및 절연물을 중간에 둔 금속제 비충전부분* 14) 400V 이상의 저압의 표피전류가열장치에 사용하는 발열관(박스를 포함한다)* |
비 고 1. *표는 사람이 접촉할 우려가 없도록 시설하는 경우에는 제3종 접지공사를 할 수 있다.
비 고 2. 접지공사 그 자체는 규제되어 있지 아니하나 소정의 접지공사를 할 경우에 시공방법이 완화되는 것으로는 다음의 것이 있다.
(1) 고압용 기계기구를 금속제의 함에 넣는 경우
(2) 저고압가공전선과 삭도(케이블카 등)등의 근접 또는 교차
(3) 저고압가공전선과 굴둑 등이 접촉될 우려가 있는 경우
(4) 저고압옥내배선과 약전류전선의 접근 또는 교차
(5) 옥내에 시설하는 저압트롤리선의 공사
(6) 전극식온천용승온기의 시설
(7) 전기집진장치의 시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