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나 행복하세요?
(::행복지수 산출 공식::)
나는 얼마나 행복할까.
내가 느끼는 행복감에 점수를 매겨 다른 사람과 비교해볼 수는 없을까. 영국의 심리학자
캐럴 로스웰과 전문상담가 피트코언이 1000여명의 영국인에게 80가지 문항을 주고
‘행복해지기 위해 필요한 조건을 골라라’고 주문해서 역산 해 행복지수 산출공식을 만들어냈다.
공식은 행복 = P+(5×E)+(3×H)이다.
계산법은 4가지 질문에 대해 각각 10점 만점으로 대답 한 후 1, 2번의 점수를 합산해서 P에,
3번을 E에, 4번을 H에 넣 은 뒤 공식에 대입하면 된다.
각 질문에 대해 ‘전혀 그렇지 않 다’면 0점, ‘확실히 그렇다’면 10점, 그 중간이면 정도에 따라
1~9점 사이로 대답한다. 만점은 100점.
1. 당신은 사교적이고 원기왕성하며 변화를 잘 받아들입니까?
2. 당신은 긍정적인 인생관을 가지고 있습니까, 실패해도 빨리 일어섭니까, 또 삶을 스스로 잘
통제하고 있습니까?
3. 건강과 돈, 안전, 선택의 자유, 공동체의식 등 삶의 기본적인 욕구가 잘 충족되는 편입니까?
4. 필요할 때 도와달라고 부탁할 사람이 주위에 많습니까, 지금 하고 있는 일을 열심히 하는
편입니까,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애쓰고 있습니까?
공식에서 P는 개인의 인생관, 스트레스에서 빨리 회복하는 탄력 성, 새로운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적응력을 나타낸다. 두 번째 요소인 E는 생존의 기본적 요소인 돈, 건강, 친구 등을 의미한다. 행복
지수를 좌우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다. H는 개인의 자존 심이나 야망 등을 의미한다. 국내의 한
주간지가 전국 642명을 설문조사한 결과 한국인 평균 행복지수는 64.13점이 매겨졌다. 스스로 매긴
점수를 이와 비교해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