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1) 클럽 회전속도의 중요성 |
|
스윙의 기본 개념이란 무엇인가?그림에서 회전운동의 축이 가슴 중앙이나 목젖부분으로 설정하고 어께로부터 이어지는 두팔,두팔이 클럽을 그립하면서 합성된 양손으로부터 클럽헤드에 이르는 전체의 직선거리(회전반경)를 r라 하고, 클럽헤드의 무게를 m, 스윙에서의 회전속도를 w라할때 회전하는 골프 클럽이 지나는 힘을 정지된 공에 전달하고자 할때 가능한 최대의 힘은 다음의 기본적인 물리개념에 비례하는 것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전달가능한 힘 = (헤드의 무게)x(회전반경의 길이)x(회전속도의 제곱)이다.결국 회전하고 있는 골프클럽의 헤드가 지나는 최대의 힘이란 클럽헤드의 무게와 회전축의 길이에 비례하고 회전속도의 제곱에 비례한다는 점이다.
따라서, 특정한 체형을 갖는 골퍼가 특정 클럽을 그립하여 스윙 함으로서 정지해 있는 볼을 멀리 날리려면 같은 값이면 클럽의 무게가 무거울수록,클럽샤프트의 길이가 길수록 유리하지만 일단 지정된 골프채를 그립하는 경우 샤프트의 길이와 무게가 지정되어 있으므로 주어진 클럽으로 어떻게 하면 클럽 헤드의 속도를 빠르게 추진 할 수 있는 가를 생각해 보아야 한다.
| |
|
(2) 클럽 회전속도 가속의 요체 |
|
그림에 스윙의 이중 회전축의 특징을 나타내었다.클럽의 스윙은 양어깨에서 손목가지의 길이의 함으로 이루어진 전체 길이를 회전 반경으로하는 원운동과, 손목 관절을 회전축으로 그립으로부터 클럽헤드까지를 회전반경으로 하는 2개의 회전축이 합성된 매커니즘에 의해 임팩트 구간에서 되전 거리를 급속히 증가시킬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다운 스윙시의 몸의 회전운동의 개시를 통하여 이행되는 큰 축(주축)의 회전을 느슨한 그립과 경직되지 않은 근육의 힘으로 구사하는 경우 작은 축(부축)의 회전이 배가된다. 이것이 통상 말하는 코킹의 릴리스에 해당하는 것이다 | |
|
(3) 클럽 회전속도 가속의 요체 |
|
2개의 주축(prime axis)과 보조축(auxiliary zxis)으로 이루어진 합성축의 회전에 의하여 강력한 스윙의 가속을 발휘하기 위히서는 주축의 회전에 보조축의 회전이 무의식적으로 가미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 보다도 스윙시 두 어께 관절의 움직임을 자연스럽게 유지하고 손목과 그립 사이의 관절이 두개의 고리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것처럼 그립의 힘이 가능한 느슨하고 손목이 유연할때만 가능하다. 다시말해서 효과적인 스윙이란 긴축에 의한 원운동과 짧은 축에 의한 원운동이 합성될 때 가능하다. 특히 서양인 보다 신장이 작은 동양인의 체구에서 서양인에 버금가는 장타를 구사하기 위한 유일한 방법은 이상과 같은 스윙의 요체를 실제 스윙에서 가미시켜야 한다. | |
|
 |
|
(1) 스윙의 궤적과 볼의 직선 이동 |
|
스윙의 궤적과 임팩트 후 힘을 전달 받은 볼의 비구선 방향을 나타 내었다. 다수의 골프 레슨에서 오류를 범하는 문제가 여기에 있다. 다운 스윙하여 임펙트 순간에 클럽의 회전운동에 대한 접선의 방향으로 볼은 비구한다. 클럽은 예정된 회전면을 그대로 회전하면서 팔로스루하는 것이며 클럽헤드를 볼이 비구하는 목표선 방향으로 밀어 버릴 필요가 없다는 것을 명심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원리는 마치 실에 추를달과 한손으로 회전하다 추를 목표선 방향으로 날려 보내고자할 때 날아가는 추의 비구선 방향은 팔로부터 추를 잡고 있는 실을 놓는 순간의 회전 운동에 대한 접선의 방향으로 추가 비구하는 원리와 흡사하다. 볼을 직구로 날려보내는 요체는 바로 클럽헤드를 임팩트 후에도 예정된 궤적으로 회전시키면 된다는 점을 명심할 필요가 있다.
| |
|
(2) 백스윙의 회전축과 다운 스윙의 회전축은 다르다 |
|
아래 그림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백스윙 시의 회전축과 다운 스윙의 회전축은 다르다는 생각을 연상시킬 필요가 있다.
 인체에는 1개의 무게 중심과 2개의 스윙축이 있다고 상상할 필요가 있다. 작은 체구의 골퍼가 볼을 멀리날리기 위해서는 임팩트시에 체중이 실려야 한다고 한다. 이와 같은 생각이 잘못 이해되는 문제의 하나는 불필요하게 다운스윙시에 체중을 이동하려는 강박관념을 갖게 되고 이 결과 불필요한 체중의 스웨이가 발생한다. 백스윙의 회전축은 오른쪽몸에 다운 스윙시의 회전축은 왼쪽의 몸쪽에 있다는 생각과, 다운 스윙에서 불필요한 체중의 이동은 부질없는 개념이라 생각 하면서 다운 스윙을 이행하는 경우 볼에 최대의 임펙트가 전달된다. | |
|
(3) 백스윙의 회전아크와 다운스윙의 회전 아크는 다르다
|
|
아래그림에서 스윙 동일한 스윙 플레인에서 다운스윙의 아크는 백스윙의 아크보다 전진되어 있다.
백스윙과 다운스윙의 스윙프레인은 항상 동일하지만 백스윙과 다운스윙의 회전축이 다르다는 생각을 하게되면 백스윙시보다 다운스윙시의 스윙 아크가 보가 예각으로 이행된다.결국 어떻게 백스윙의 아크가 이루어 졌는가에 상관 없이 다운 스윙시에는 볼을 향하여 최단의 거리로 그립 되어 있는 손이 이동된다는 생각을 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스윙의 개념은 특히 아이언의 샷에서 다운 블로우가 자연스레 유발되는 원리이다.
| |
|
(4) 헤드업과 헤드 다운 모두 잘못이다 |
|
그림(보기)에서 다운스윙과 임팩트 이후에 헤드업에 관련된 3가지의 유형을 나타 내었다.
 소위 발하는 헤드업이란 임팩트이후 팔로스루가 이행되면서 내가 스윙한 볼이 어떻게 날라가는지를 살펴 보고 싶은 너무나 자연스런 본능적인 행동이다. 헤드업이 나쁘다는 점을 너무 강조한 결과 이미 볼이 비구한 이후에도 볼이 놓여 있던 지점을 주시하라는 주문은 올바른 주문이 아니다. 현재의 프로선수중 David Duval이나 Anika Sorenstam의 경우 헤드업을 크게 신경쓰지 않는 경우이다. | |
|
(5) 백스윙과 다운 스윙에서 자연스런 체중의 옮아감 |
|
그림(보기)에서 스텐스를 취하고 있을 때, 백스윙을 이행하고 있을 때, 그리고 다운스윙이 이행되고 있을 때의 발바닥에 서 이행되는 체중의 옮아감에 대하여 나타내어 보았다.
우리 인체의 특성을 생각할 때 위에서 본 우리몸은 마치 타원형의 모양을 하고 있다. 완전한 원형이 아니므로 몸의 우측방향의 회전(백스윙)과 좌측방향의 회전(다운 스윙)에서 체중의 이동은 너무나 자연스런 무의식적인 결과이다. 너무 체중의 이동에 쓸에 없는 많은 생각을 할 필요가 어디에 있는가? | |
|
(6) 스윙 플레인(Plane) 유지의 중요성 |
|
그림(보기)에 스텐스를 취한후 클럽헤드와 손목 그리고 목을 지나는 3각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기울여진 경사면을 나타내었다. 또한 클럽 샤프트를 연장한 성분에 뉘여 있는 평면을 상상 하자.
백스윙과 다운 스윙에서 클럽의 헤드가 동일한 평면을 접촉한채 회전한다고 연상하다.스윙에서 가장 중요하고, 그 중요성을 아무리 강조하여도 지나치지 않은 요체가 여기에 있다. 백스윙과 다운 스윙에서 클럽헤드는 동일한 평면을 지나는 경우만이 볼이 직선으로 비구할 확률이 높다.
아마도,대부분의 스윙을 원리에 충실하게 구사하는데에도 불구하고 볼이 직선으로 비구하지 안는 이들은,연습스윙에서 스윙의 플레인이 동일한지를 친구에게 확인해달라는 부탁을 해볼 필요가 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