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분리형 광전식감지기(Linear Beam Smoke Detector)의 설치기준과 설치방 법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1. 서론
- 경기장, 고속철도 역사, 국제 신공항, 박물관 등과 같이 층고가 높고, 감지구역이 넓은 대공간의 건축물에 적합한 감지기
- 송광부와 수광부로 구성되고 선형의 적외선을 주고 받는 광축상에 연기가 유입되면 수광량의 감소에 따른 전기적인 변화를 검출하는 구조
- 국소적인 연기의 체류나 일시적인 연기의 통과에도 동작하지 않아 비화재보 방지에 도움
2. 설치기준
① 관련법규
- 감지기의 부착높이가 20m 이상인 장소
- 화학공장, 격납고, 제련소 등의 장소
② 설치요령
- 고천정 대공간의 분리형 감지기의 수광부와 발광부 간의 거리는 공칭감시거리(100m)범위 이내로 설치
- 천정고(천정의 실내에 면한 부분 또는 상측 슬라브 바닥 하부면과 바닥면과의 높이)가 10미터 이하는 1단으로 천장고의 90% 이내의 위치에 설치
- 천장고가 15m를 초과하는 경우는 감지기를 2단으로 설치하여 상단 감지기는 천장고의 90% 이내의 위치에 설치하고 하단 감지기는 천장고의 50% 이내의 위치에 설치
- 벽과 감지기 광축(송광면과 수광면의 중심을 연결한 선)간의 이격거리는 0.6m 이상 최대 7m 이내 이격하여 설치
- 감지기가 설치되는 벽면으로부터 1m 이내 위치에 설치
- 감지기간 방호간격은 14m 이내로 설치
③ 설치사례
- 천장이 높고 공간이 넓은 건물에 적합(아트리움, 로비)
- 체육관, 강당, 극장, 공장, 창고, 차량기지, 지하상가, 변전소, 전기실
3. 설치방법
① 광축조정
- 송광부, 수광부 Cover(덮개)를 열어 수광부의 거리설정 스위치가 조정상태로 되어있는 것을 확인
- 송광부의 조준구멍을 보면서 수광부의 본체가 조준구멍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송광부의 광축조정스위치(수평, 수직)를 움직여서 조정
- 수광부도 같은 모양으로 하고, 송광부의 본체가 조준구멍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조정
② 모니터 LED에 의한 수광량 조정
- 모니터 LED는 수광부로 향해서 좌측끝 LED가 점멸할 때가 최소(황색)이며, 우측끝 LED가 점멸할 때가 최대(적색)로 되게 두고 수광량의 레벨메타로서 사용
- 수광량 조정 손잡이는 조정기와 함께 위로 회전하여 출력 증가, 아래로 회전하여 출력 감소
- 모니터 LED는 1초 간격으로 동작하기 위해, 수광량 조정 손잡이를 돌려 매2회 정도 LED에 점멸하고 있는 색을 확인하고 나서 다시 돌리도록 할 것
- 수광량 조정 손잡이를 최대로 하고도 모니터 LED가 황색의 경우 광축조정 불량, 광축상의 차단물 등을 Check
- 감시거리가 10m 이하로 짧은 경우는 조정기를 아래쪽으로 조인상태로 하고 미세 조정기만으로 조정
- 감시거리가 80m이상에서는 조정기만으로 거의 조정이 가능
- 모니터LED에 의한 수광량 조절은 수신기를 사용하지 않아도 수광량의 단자 L-C 사이에 정전압 전원 또는 니켈카드뮴 전지(DC24V)와 저항을 접속하여 실행 가능
◆ 주의사항
․ 확실하게 광축조정을 마치고서 행한다
․ 전원 투입 후 2분이상 경과하서 나서 행한다.(정상동작이 될 때까지 2분 소요)
․ 광축조정 손잡이를 돌려도 모니터 LED가 황색 밖에 점멸하지 않는 경우는 광축조정 불량, 광축사이의 차단물 등을 Check 한다.
․정전압 전원 또는 니켈, 카드뮴 전지를 사용하고 조정을 하는 경우는 결선도에 의거, 반드시 저항(1㏀, 1W)을 접속하여야 한다.
③ 거리설정(감도설정)
- 모니터 LED은 녹색이 점멸하고 있는 것을 확인한 후 거리설정 스위치를 감시하는 거리에서 조정
④ 동작확인
- 소정의 점검 훨타를 이용하여 작동시험, 부작동시험 및 차폐시험을 행함
'자료실 > 전기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방식이란 (0) | 2012.10.08 |
---|---|
Harmonic은 왜 생기나? (0) | 2012.08.22 |
전선의 허용전류계산 (0) | 2011.06.14 |
조명 계산 (0) | 2010.08.25 |
교류-직류 발전기의 원리 (0) | 2010.07.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