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계산 연산봉 (851m)
전남 순천시 송광면, 승주읍 죽학리, 주암면 행정리
일자 : 2007년 7월 29일(일)
코스 : 송광사주차장-송광사-연산봉(851m)-송광사굴목재-보리밥집-송광사굴목재-송광사주차장
누구 : 친구 래구미랑
한여름의 불볕더위 속에 산행길에 나선다.
이열치열이라 할까~!!
어제 산행으로 피곤한 몸이지만 모처럼 친구랑 산행한다는 즐거움이 더 크기 때문에 가벼운 마음으로 아침을 맞아 길을 나선다.
10시에 광양을 출발하여 순천 송광사를 향해 달려가니 하루의 산행은 이렇게 시작된다.
|
조계천 계곡을 사이에 두고 뻗은 능선이 동서로 나란히 대칭을 이루고 있다. 본래는 동쪽의 산군을 조계산이라 하고 서쪽의 산군을 송광산이라고 했으나, 조계종의 중흥 도량산이 되면서 조계산이라고 부르게 되었으며 송광산이라고도 한다. 수림이 다양하고 울창하여 전라남도 채종림(採種林) 지대로 지정되어 있다. 1979년 12월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공원 면적은 27.38㎢이다. 봄철의 벚꽃·동백·목련·철쭉, 여름의 울창한 숲, 가을 단풍, 겨울 설화(雪花) 등이 계곡과 어우러져 사계절 모두 독특한 경관을 이룬다. 또한 송광사·선암사 등의 유명한 사찰과 많은 문화재가 있어 송광사·선암사 일원이 명승 제5호로 지정되어 있다. 산의 서쪽에 있는 송광사는 삼보사찰 가운데 하나인 승보사찰(僧寶寺刹)로 우리나라에서 가장 규모가 큰 절이다. 경내에는 목조삼존불감(국보 제42호)·고려고종제서(高麗高宗制書:국보 제43호)·송광사국사전(국보 제56호)·송광사경패(松廣寺經牌:보물 제175호)·송광사하사당(보물 제263호)·송광사약사전(보물 제302호)·송광사영산전(보물 제303호) 등의 많은 문화재가 있다. 주위에는 광원암·감로암·천자암 등의 암자가 있으며, 천자암 위쪽에는 곱향나무쌍향수(천연기념물 제88호)가 있다. 산의 동쪽에 있는 선암사는 백제 성왕 때 아도화상(阿道和尙)이 창건했으며, 경내에 선암사3층석탑(보물 제395호)이 있다. 선암사 입구에서 계곡을 따라 올라가면 아치형 다리인 승선교(昇仙橋:보물 제400호)와 강선루가 있다. 그밖에 비룡폭포가 유명하며 특산물로 산채와 고로쇠약수가 알려져 있다. 송광사-마당재-굴목재[屈木峙]-선암사를 잇는 등반 코스가 잘 알려져 있다. 송광사와 선암사 입구에는 숙박시설과 편의시설이 잘 갖추어져 있는 집단시설지구가 형성되고 있다. 조계산 일대는 전라남도의 대표적인 관광지로, 광주·순천에서 송광사 및 선암사까지 버스가 운행되고 호남고속도로 및 순창-고흥을 잇는 국도와 인접해 있어 교통이 편리하다. 광주·순천·여수 등의 대도시와 인접해 있고, 한려수도와의 연계로 앞으로 더욱 발전할 것이 기대된다. |
<송광사 입구>
<바위에 세겨진 나무아비타불>
<하마비가 뭔지 모르겠다>
<뭐하는 사람들의 이름인지 바위에 이처럼 세겼는가>
<송광사 입구>
<송광사 대웅전을 배경으로>
<등산로 들머리>
<연산4거리 방향으로 향한다>
<연산봉 뒤에 장군봉이 보인다>
<송광사굴목재>
<대피소>
<조계산보리밥집>
<보리밥 먹고 한잠을...>
<다시 굴목재로>
<오를때는 좌측으로 내려올땐 다리를 건너서>
<무슨 꽃일까...만개해 있다>
산행을 마치고 송광사 주차장으로 되돌아 오니 하루의 산행은 이렇게 끝이 나는구나.
즐겁고 보람된 하루의 산행이 되었으니 얼마나 좋은가~!!
친구야...고마우이~!!
'등산의 여유 > 호남제주권 산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흥 천관산 - 가을 억새산행 (0) | 2007.10.04 |
---|---|
광주 무등산 낙타봉-바람재-중머리재 (0) | 2007.08.13 |
금성산성- 담양온천에서 강천사 (0) | 2007.07.30 |
순천 조계산 - 선암사에서 종주하기 (0) | 2007.07.16 |
광주 무등산 새인봉-장불재-서석대 (0) | 2007.06.11 |